본문 바로가기
화성학(Harmony)공부하기

Secondary Dominant(세컨더리 도미넌트)

by 역전의명수 2023. 6.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역전의명수입니다. 

오늘 시간은 Secondary Dominat(2차도미넌트)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Secondary Dominant 란 2차 도미넌트를 말하며 
다른 Key(조성)의 V7을 잠시 빌려온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Secondary Dominant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컨더리 도미넌트를 설명하는 사진
세컨더리 도미넌트

 

모든 Diatonic Chord는 그 코드 바로 앞에 완전5도위에 음(root)을 근음(root)으로 가지는 

도미넌트 7th chor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도미넌트를 Secondary Dominant(2차 도미넌트)라고 합니다. 

단 이때, Secondary Dominant의 근음은 Diatonic note , 즉 다이어토닉 스케일상의 음이어야 합니다.
(F#7의 근음 F#은 nondiatonic note이므로 세컨도리도미넌트가 아닙니다.) 

 

좀 어려우시죠? 아래그림처럼  

C Major scale(=Diatonic scale)에서 나오는 

Cmaj7, Dm7, Em7, Fmaj7,G7 , Am7, Bm7(b5) 코드로 곡을 4마디정도 썼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다이어토닉 코드 진행을 설명하는 사진
Diatonic chord progression

여기에 오늘 배운 Secondary dominant(2차 도미넌트)를 넣어 보겠습니다. 

Am7 코드앞에 완전5도위에 음은 무엇일까요 "라"에서 완전5도 위의 음은

온음3,반음1개인 거리이니 라시도레미 "미(E)"란 걸 알 수 있겠죠?

E를 근음으로 가지는 Dominant 코드 E7(이 도미너트 세븐) 을 Am7 코드앞에 쓸 수 있습니다.

이 E7 을 세컨더리 도미넌트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Fmaj7 앞에는 C7 

G7 앞에는 D7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코드진행에서 세컨더리 도미넌트 사용을 설명하는 사진
Secodary domint 사용 예시

 E7 코드아래 V7/VI (파이브 세븐 어브 식스) 처럼 로마자로 써 놓은것은 화성을 분석한 것으로

VIm7(식스마이너세븐)인 Am7에 V7(파이브 세븐)이다라고 하여 V7/VI 이렇게 쓰여진 것입니다.

 

C7은 Fmaj7(IVmaj7)의 V7 이다라고 하여 V7/IV 이렇게 표기합니다. 

지면상이라 다양한 예제를 많이 못넣어서 아쉽네요  

 

C major scale(=Diatonic scale)에서 나오는 7개코드 외에  
5개의 코드가 더 생겼다고 보시면 됩니다.        
7개의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다 새로운 5개의 물감을 더 얻으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머리로 아는것이 아닌 연주를 해보면서 어떤 울림인지 느낌인지 듣고 연습해보는것이 

가장 좋은 공부가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C Key 기준으로 C7, D7, E7, A7, B7 이렇게 5개의 S.D(세컨더리도미넌트)가 

나오는걸 알 수 있었습니다.

 

C7은  Fkey에 V7을 빌려온 것입니다. 

D7은  Gkey에 V7을 빌려온 것입니다. 

E7은  Akey에 V7을 빌려온 것입니다. 

A7은  Dkey에 V7을 빌려온 것입니다. 

B7은  Ekey에 V7을 빌려온 것입니다.

 

C key에서 위 세컨더리 도미넌트가 나올때

순간적으로 아웃고잉(out going)하는 순간전조되는 느낌이 들다가

다시 다이어토닉으로 복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즐거운 음악생활하세요~!!  화이팅입니다~!!^^   

유튜브도 놀러오셔유 ㅎㅎ 
Sweet Midi Recipe - YouTube

반응형

댓글